검색 된 연수가 없습니다. 다시 검색해주세요.
홈 > 직무연수 > 연수신청
재화의 정보에 관한 사항(이러닝)
1. 제작자 또는 공급자: (주)비상교육 2. 이용기간: 콘텐츠 구매 시, 신청한 연수 기간 동안 이용 (이후 복습기간 1년 제공) 3. 상품 제공 방식: 연중 무휴, 24시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4. 최소 시스템 사양, 필수 소프트웨어: -CPU의 경우 듀얼코어 1.5GHz급 이상을 권장하며, 운영시스템은 Windows 10이상의 운영시스템을 필요로 합니다. 브라우저는 Edge, 크롬, 파이어폭스 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 5. 청약철회 또는 계약의 해제 해지에 따른 효과: 구매자의 단순변심에 의한 경우 콘텐츠 제공(연수 시작일) 7일 이내에 청약 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. 6. 소비자 상담 관련 전화번호: 비바샘 원격교육연수원 고객센터 1544-9044
- 교사들은 자신의 심리적 소진과 스트레스 요인을 인식하고 점검할 수 있다.
- 교사들은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며, 정서적 균형을 회복할 수 있다.
- 교사들은 미술치료적 접근을 기반으로 자기돌봄 기법을 익히고 실천할 수 있다.
- 교사들은 그림검사 등 미술기반 심리활동을 직접 체험함으로써, 자신과 학생의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교실 내 관계 형성에 적용할 수 있다.
- 교사들은 동료 교사들과의 감정 교류를 통해 공감과 지지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.
- 교사들은 본 연수에서 익힌 미술치료 기반 활동을 교실 수업이나 생활지도 상황에서 학생들과 함께 실천함으로써, 학생의 감정 조절과 정서적 안정을 지원할 수 있다.
- 교사는 학교 현장에서 정서적 긴장과 심리적 소진을 자주 경험하며, 이를 돌보는 과정은 교사의 전문성과 지속 가능한 교육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. 본 연수는 예술을 통한 자기이해와 회복을 돕는 미술치료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.
- 교사가 자신의 스트레스와 감정 상태를 점검하고, 미술을 매개로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정서적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. 실제로 교사 개인이 쉽게 접근하고 실천할 수 있는 활동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.
- 미술 활동은 비언어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, 감정 인식과 정서 해소에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. 본 연수는 교사들이 직접 체험하며 감정을 안전하게 다루고, 자기돌봄의 다양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.
- 이 과정에서 그림검사 등 미술기반 심리활동을 활용하여 교사가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는 동시에, 학생의 정서와 교실 내 관계를 이해하는 시각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. 이는 교사 소진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인 ‘학생과의 관계 스트레스’를 완화하는 통합적 자기돌봄 경험으로 설계되었다.
- 궁극적으로 교사는 본 연수를 통해 예술적 접근을 활용한 자기돌봄 역량을 강화하고, 학교 현장에서도 간단하게 실천할 수 있는 심리적 회복 전략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.
-본 연수에서 익힌 미술치료 기반 활동은 교실 수업이나 생활지도 과정에서도 학생들과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감정 조절 도구로 활용되어, 학생의 심리·정서 발달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.
* 이수기준 진도율 - 90% 이상
* 이수기준 점수 - (학습진도율 90% 이상, 온라인시험, 학습참여, 강의평가 응시),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<경력>
- 현)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예술심리치료 전공 조교수
- 현)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완화의료센터 미술치료 슈퍼바이저
- 전) 차의과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조교수
- 학교 wee센터, 교육복지센터 미술치료 수퍼비전
- 교육청 가족 미술치료 및 부모교육 다수 진행
<저서>
- 미술치료사 11인의 정신장애별 미술치료. (공저, 2021)
- 호스피스완화의료 -의미있는 삶의 완성-. (공저, 2018)
- 체험 미술심리치료. (공저, 2018)
- 임상 미술치료학. (역서, 2012)
- 임상미술치료학 박사
- 현) 삼육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미술치료사
- 전)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, 연세소울정신건강의학과(노원) 부설 상담센터 미술치료사
- 전) 학교폭력피해자협의회 미술치료사(GS칼텍스 마음톡톡 사업)
- 전) 광명시 정신건강복지센터, 양천Wee센터 주 예술치료사(문체부 찾아가는 예술처방전 사업)
- 학교 미술치료 다수 진행
- 현) 일산 차병원 암통합힐링센터, 산모태교 미술치료사
- 전)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사회재활과, 동백성루카 호스피스 병동, 용인세브란스 정신건강의학과, 좋은마음정신과 부설 상상심리센터, 굿네이버스 안양지부 미술치료사
- 소아암 중환아의 그림과 미술치료. (Susan Bach 저, 정여주 외 공역, 2024)
상시연수로 신청하시겠습니까?
연수기수 선택 (필수 선택 사항)
옵션 선택 (선택 사항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