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 된 연수가 없습니다. 다시 검색해주세요.
홈 > 직무연수 > 교육청연수
재화의 정보에 관한 사항(이러닝)
1. 제작자 또는 공급자: (주)비상교육 2. 이용기간: 콘텐츠 구매 시, 신청한 연수 기간 동안 이용 (이후 복습기간 1년 제공) 3. 상품 제공 방식: 연중 무휴, 24시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4. 최소 시스템 사양, 필수 소프트웨어: -CPU의 경우 듀얼코어 1.5GHz급 이상을 권장하며, 운영시스템은 Windows 10이상의 운영시스템을 필요로 합니다. 브라우저는 Edge, 크롬, 파이어폭스 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 5. 청약철회 또는 계약의 해제 해지에 따른 효과: 구매자의 단순변심에 의한 경우 콘텐츠 제공(연수 시작일) 7일 이내에 청약 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. 6. 소비자 상담 관련 전화번호: 비바샘 원격교육연수원 고객센터 1544-9044
1. 다양한 수행평가의 종류를 이해하여, 수업 활동과 수행평가 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.2.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단계와 수행평가 과제 개발 시, 선택하는 사항에 따라 수행평가 과제의 내용이 달라짐을 알고 학습목표에 적절한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할 수 있다.3. 수행평가 과제에 적절한 채점기준표를 개발하여 학생의 수행평가 수행 과정과 결과에서 활용할 수 있다.4. 통합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질 높은 통합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를 개발할 수 있다. 5. 수행평가 과제 채점기준표를 활용한 타당한 점수 산출 방법을 알고, 최종 수행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.6. 교육과정-수업-평가-기록이 밀접하게 연결된 수업 실천 사례를 보고, 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∙ 다양한 수행평가의 종류를 소개하고, 이를 교실 수업 활동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안내하며, 이와 더불어 현직 교사가 수업 활동과 수행평가 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한 사례의 내용을 담고 있다.∙ 수행평가 과제 개발 단계를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고,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할 때, 선택할 사항과 각 선택에 따라 어떻게 수행평가 과제가 구성되는지 알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.∙ 수행평가 과제에 적합한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. 따라서 다양한 채점기준표 유형의 강점과 한계를 제시하고, 좋은 채점기준표와 좋지 않은 채점기준표의 여러 예시를 소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.∙ 질 높은 수행평가 과제 개발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 개발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심 통합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 개발의 일련의 과정을 소개하고 현직 교사들과 실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.∙ 수행평가 과제 채점기준표를 활용하여 다양한 점수 체계에 따른 타당한 점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. ∙ 현직 교사들의 교육과정 분석-수업과 수행평가 계획-수업과 수행평가 실천의 일련의 과정을 안내하는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.
* 이수기준 진도율 - 90% 이상
* 이수기준 점수 - (학습진도율 90% 이상, 온라인시험, 학습참여, 강의평가 응시),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現) 충남대학교 응용교육측정평가 연구소, 연구교수
<약력>- 前) 초등학교 교사(1996년 ~ 2014년) - 現) 한국교육평가학회 이사
<저서 및 역서>- 초등학교용 글쓰기의 수직적 루브릭 및 척도 개발(2021)-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 개발(2020, 공저)-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과정 중심 피드백(2020, 공저)- 기초학력 진단-보정 시스템 콘텐츠 개발 총괄(2009~현재, 교육부)- 한국어 능력 진단-보정 시스템 콘텐츠 개발 총괄(2018~현재, 교육부)-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 모형 개발 정책 연구(2017, 교육부)- 중고등학교 서논술형 평가 도구 개발 연구(2019, 대전광역시교육청외 13개 시도교육청 연합)- 초중등 학생평가 컨설팅 및 과정중심 피드백 자료 개발 연구(2021, 한국과학창의재단, 교육부)
<경력>'교사가 지치지 않는 독서교육’(에듀니티) ‘자존감과 학습력을 높이는 독서교육’ (참교육원격연수원), ‘성장과 발달을 돕는 중등 평가 혁신’(참교육원격연수원), '한학기 한 권 읽기'(교육부), '배움과 삶이 일치하는 마을결합형교육과정의 이해'(서울시교육청), '민주시민프로젝트학습'(교육부), ‘중등 국어 원격수업 학생평가 수업-평가 설계 및 실제’(한국과학창의재단), 원격 연수 촬영, 서울, 경기, 인천, 강원, 전남 1정 연수 강사
<저서 및 수상>보니샘과 함께하는 블렌디드 수업과 평가(우리학교), 보니샘과 함께하는 자신만만 프로젝트 수업10(우리학교) 한 학기 한 권 읽기 어떻게 할까(북멘토), 아름다운 삶, 아름다운 도서관(우리교육), 북미도서관에 끌리다(우리교육), 국어샘과 도덕샘이 함께 쓴 인성독서(우리학교), 쫄깃하고 맛있는 시라면(우리학교)
❋ 2021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부설영재교육원 창의융합상상소 지도교사❋ EBS 물리학 학습 상담 교사 (2020-2021)❋ 2021 질문으로 열어가는 행복교실 중등 추수 직무연수 강사❋ 2021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부설영재교육원 선발시험 출제위원❋ 2020 전국 토론교육 페스티벌 강사❋ 2020 수업을 살리는 배움중심 논술형평가 역량강화연수 강사❋ 2020 융합과학교육원부설영재교육원 주제별 탐구활동 강사❋ 2020 융합과학교육원부설영재교육원 중학SW반 지도교사❋ 2019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부설영재교육원 영재선발 심층면접위원❋ 2019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창의체험 나눔 배워보場 강사❋ 2018 더 좋은 일반고 수업 나눔 강사 등
<경력>- 2011년 8월~ : 충남대학교 응용교육측정평가연구소, 소장- 2014년 9월 15일 ~ 2015년 3월 : 충남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, 센터장- 2005년 4월 ~ : 충남대학교, 교수- 2002년 8월 ~ 2005년 3월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, 전문연구원- 1998년 6월 ~ 2002년 7월 : ACT, Inc., 연구원 (Psychometrician)
<주요저서>-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 개발(2020, 공저)-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과정 중심 피드백(2020, 공저)
<경력>∘ 영란여자중학교 ‘패들렛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’ 교내 연수 ∘ 동부교육지원청 주최 진로 온 콘서트 유튜브 실시간 진행 및 사회 ∘ 도덕과 모임 ‘실시간 온라인 수업’ 방법 연수∘ 교원공동체 모임 ‘실시간 온라인 수업’ 사례 나눔∘ 호매실중학교 ‘줌을 활용한 실시간 수업 방법’ 연수∘ 태성고등학교 실시간 수업 방법 ‘뚝딱 열리는 온라인 수업’ 연수∘ 오남중학교 실시간 원격 수업 방법 및 과정중심 평가 연수∘ <교사가 진짜 궁금해 하는 온라인 수업> 공동 저자∘ 티처빌원격교육연수원이 운영하는 ‘교사가 진짜 궁금해하는 온라인 수업과 학급 경영' 연수과정 강사∘ 강원도 교육청 2021년 [배움중심수업디자인하기(중등) 직무연수] 온라인수업 연수 강사
<저서 및 수상>∘ 교사가 진짜 궁금해하는 온라인 수업∘ 예비 교사를 위한 온라인 수업 100문 100답 현직 교사들이 알려주는 임용고시 면접비책
- 2009 개정 교육과정 중 3 영어, 고등학교 기초영어 공동 집필-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영어 1, 2, 3학년 공동 집필- 2013 ~ : 네이버카페 영어교사공유나라 운영- 2010 ~ : 서울, 제주, 경남, 대구, 전남, 전북, 광주, 경기, 강원교육청/연수원, 국립국제교육원 학생중심수업, 과정중심평가, 평가문항 제작, 자유학기[년]제 관련 강의 출강- 2016~2017 : 중앙대학교 영어교육과 출강- 서울시교육청원격교육연수원 및 ybm원격교육연수원 원격 연수 강의 -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출제위원- 2019 ~ :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전문가 아카데미 운영
<경력>경기 안산 원일중, 부산 동항중, 서울 인헌중, 남성중, 국사봉중 국어교사
<경력>◆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연수 전문가 위원 (2017.3.~2018.12.)◆ 경기도새로운논술형평가연구회장(2019) ◆ 경기도토론교육연구회부회장(~2021)
<저서 및 수상>◆ 토론을 알면 수업이 바뀐다(2011, 창비, 공저)◆ 즐거운 토론수업을 위한 토론교과서(2013, 창비, 공저)◆ 토론이 수업이 되려면(2019, 교육과실천, 공저)
<경력>- 경기도 충훈고등학교 교사- 경기도안산교육지원청 수업을 살리는 역사과 논술형 평가 연수- 경기도토론교육연구회 토론페스티벌 연수
연수기수 선택 (필수 선택 사항)
옵션 선택 (선택 사항)